목차 일부
프롤로그 핀란드 마법사의 주문
1장 성공의 덫
○ 왜 한국의 청년들은
○ 핀란드 청년들의 고민
○ 기후위기와 세계평화
○ 설마, DNA는 아니겠지?
○ 운이 좋았던 소수
○ 심각...
더보기
목차 전체
프롤로그 핀란드 마법사의 주문
1장 성공의 덫
○ 왜 한국의 청년들은
○ 핀란드 청년들의 고민
○ 기후위기와 세계평화
○ 설마, DNA는 아니겠지?
○ 운이 좋았던 소수
○ 심각해지는 불평등
○ 86세대, 불평등의 원흉?
○ 문제는 세대가 아니라 부의 세습이다
○ 모두 한국 같지는 않아
○ 노력은 성공의 어머니?
○ 혁명이냐, 복지국가냐
○ 우리는 한배를 타고 있다
2장 성공, 그 놀라움
○ 성공을 이야기해야 하는 이유
○ 선진국 한국, 놀랍다는 말밖에는
○ 2백 년 만에 처음 일어난 일
○ 돼지털을 수출하던 나라에서
○ 일제 강점 때문일까?
○ 나라님도 어쩔 수 없다는 빈곤이
○ 낮아진 불평등, 그러나
○ 피, 땀, 눈물이 만든 민주주의
○ 전쟁의 나라에서 문화의 나라로
○ BTS, 인종적 위계를 전복하다
○ 한국 문화가 창조하는 독특한 콜라주
○ 선한 영향력
○ 미션 임파서블?
3장 성공의 이유
○ 백마 타고 오는 초인(超人)이 있어
○ 아! 50년대여……
○ 농지개혁, 반대할 사람이 없었던 국가
○ 국가가 만들고 키운 자본가
○ 너는 다 계획이 있었구나
○ 시장이야, 국가야
○ 국가가 주도한 산업화
○ 반대를 뚫고
○ 수출과 수입대체를 병행하며
○ 무소불위의 권위주의
○ 자유화, 개방화, 민주화 이후의 성장
○ 숙련 대신 로봇
○ 국민의 인내, 대기업의 노력
○ 노동자, 눈물과 땀
4장 성공이 덫이 된 이유
○ 왜 우리는 행복하지 않을까?
○ 내 가족만 책임지면 되는 사회
○ 우리는 왜 이렇게 복지에 무관심할까?
○ 감세의 덫에 빠진 사회
○ 부자 되세요
○ 투기를 부추기는 국가
○ 다시 기적을 갈망하는 사람들
○ 저성장
○ 역량만큼 성장하지 못한 이유
○ 재주는 곰이 부리고
○ 정규직을 위한 한국의 복지제도
○ 성공이 만든 신(新)신분사회
○ 실패하면 끝, 그래서 공무원?
○ 내로남불
○ 나를 대표하지 못하는 민주주의
○ 반공주의, 또 하나의 덫
○ 누구를 위한 민주화였나?
○ 여성, 의지에 반하여
○ 파우스트(Faust)
○ 악순환
5장 누구도 가보지 않은 길
○ 행복한 국가와 불행한 국가
○ 복지지출을 늘리면 행복해질까?
○ 복지국가
○ 우리에게 괜찮은 일자리를
○ 새로운 사랑법, ‘노르딕 러브’
○ 실패해도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사회
○ 국가는 가정이 아니다
○ 세금을 올려도 될까?
○ 증세, 이렇게 하면 어떨까?
○ 평화와 공존
○ 나를 대표하는 정치 만들기
○ 새로운 노동자는 새로운 방식으로
○ 시민과 노동자가 어깨 걸고
○ ‘침묵의 봄’으로부터의 탈출
○ 새로운 길
○ 잠정적 유토피아를 향하여
에필로그
미주
참고문헌
색인
더보기 닫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