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빈곤에 대한 다차원적이고 심층적인 실태와 영향요인을 3년간 연속연구를 통해 누적적으로 파악하고 청년 빈곤에 대한 예방 및 지원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청년들의 사회적 자립을 위한 정책적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함이다. 금년도 1차년도는 연속연구 첫해로서 청년 빈곤의 분류틀 및 지표 개발을 중심으로 지표별 실태 및 유형 분석, 경제/소득 및 노동 빈곤의 인식과 정책 욕구 파악 등을 통해 자립안전망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.
청년 빈곤의 개념을 ‘성인기 이행 과정에서 기본적인 삶과 사회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자원과 기회가 박탈, 결핍된 상태’로 정의하였고, 청년 빈곤의 영역을 경제, 노동, 주거, 건강, 교육, 사회·문화자본 등 6개 영역 총 12개 빈곤지표로 분류하여 그 실태와 빈곤유형에 대한 심층 분석을 하였다. 또한 청년 빈곤 문제의 1차년도 중점영역인 경제/소득 및 노동영역에 관한 상황, 인식, 전망, 정책 욕구에 대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.
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청년의 자립안전망 체계의 토대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 제언으로서 경제와 노동이라는 2개 분야 총 12개의 정책 과제를 제안하였다.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년의 빈곤 문제를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그에 부합하는 청년들의 자립안전망 체계 구축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