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
역자 서문 = 3
한국 독자들에게 = 15
저자 서문 = 19
주요 번역 용례 = 29

제1장 1945년까지의 한국교육 = 35
근대화 초기 = 42
일제 강점기의 한국교육 = 48
교육기회의 제한 = 49
교육과 정치적 통제 = 58
일제 강점기 교육의 또 다른 유산들 = 63
소용돌이에 빠진 사회 : 제2차 세계대전의 유산 = 67

제2장 교육제도의 설립과 시행, 1945∼1951 = 69
미군정과 교육발전 = 70
교육체제에 대한 논쟁 : 교육자와 교육적 이상 = 90
새로운 교육체제 만들기 = 102
단선형 VS. 복선형 = 105
지방교육자치 = 111
이어진 교육법 개정 = 116

제3장 교육제도의 확장 = 121
초등교육의 강조 = 122
중등교육과 고등교육 = 130
교원연수 = 134
학생 수용 = 139
성인 문해 = 142
미국의 원조 = 146
사회적 수요와 교육발전 = 151
교육 수요의 이해 = 158
한국전쟁이 교육발전에 미친 영향 = 163

제4장 경제성장을 위한 교육계획 = 171
1961년 이전의 교육과 경제개발계획 = 172
교육과 발전국가 = 180
실업교육의 촉진 = 184
교육과 중화학 공업을 위한 압박 = 190
대학정원제 = 198

제5장 입시제도 = 211
입시지옥의 등장 = 212
시험과 교육의 균질성 = 217
입시광풍의 통제 = 227
중학교 입시제도 개혁 = 230
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= 235
7ㆍ30 교육개혁 = 239
평등주의와 입시 개혁 = 246

제6장 교육열 비용 = 257
이승만정부의 교육재정 = 258
사학재단의 역할 = 264
박정희정권에서의 교육재정 = 271
과외열풍과 교육비의 증가 = 278

제7장 교육과 국가통제 = 289
이승만정부의 학생동원과 군사교육 = 290
정치적 동원과 사회적 요구 = 300
박정희정권하의 학생동원 = 304
이념 교육 = 311
정치적 도구로서의 학교 = 317
서울의 봄과 전두환 = 328

제8장 민주화, 번영, 교육 변화 = 337
학생 및 교사 운동 = 338
교육의 민주화 = 345
신경제시대의 교육 = 353
형평성과 기회라는 이념에 대한 도전 = 358
젠더와 교육 형평성 = 367
교육을 향한 동력 = 371

결론 = 375
참고문헌 = 385
찾아보기 = 403